mopa26 님의 블로그

mopa26 님의 블로그 입니다.

  • 2025. 3. 29.

    by. mopa26

    목차

      심박수 존(Zone 1~5) 훈련으로 러닝 실력 향상하는 법

      심박수 존(Zone 1~5) 훈련으로 러닝 실력 향상하는 법

      러닝 실력을 과학적으로 향상시키고 싶다면, 단순한 거리나 시간보다 '심박수'에 주목해야 합니다. 심박수 존 트레이닝은 Zone 1~5의 체계적인 구간을 기준으로 러너의 속도와 지구력을 최적화할 수 있는 훈련 전략입니다. 본 글에서는 각 존의 의미와 활용 방법을 구체적으로 안내합니다.


      1. 심박수 존 훈련이란?

      1-1. Zone Training의 개념

      Zone Training은 개인의 최대심박수(Max HR)를 기준으로 심박수 범위를 5개의 존으로 나누어 훈련하는 방식입니다. 각 존은 유산소 능력, 체지방 연소, 지구력, 속도 향상 등 다양한 목표에 따라 설정됩니다.

      1-2. 최대심박수 계산법

      가장 간단한 방식은 220 - 나이입니다. 예를 들어 30세라면 최대심박수는 약 190 bpm입니다. 일부는 208 - (0.7 × 나이) 공식도 사용합니다. 정확한 측정을 위해 심박계 사용을 추천합니다.


      2. Zone 1~5의 구성과 특징

      2-1. Zone 1 - 회복 구간 (50~60%)

      가볍고 편안한 페이스로 회복을 목표로 합니다. 스트레칭 전후, 장거리 러닝 다음날 유용합니다. 대화가 가능한 수준입니다.

      2-2. Zone 2 - 지구력 향상 핵심 (60~70%)

      러닝 훈련에서 가장 중요한 존입니다. 지방을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며, 심폐 기능 향상과 지구력 강화에 효과적입니다. 장거리 러너에게 필수 존입니다.

      2-3. Zone 3 - 템포 존 (70~80%)

      조금 숨이 차기 시작하는 구간으로, 지속적인 템포 러닝에 적합합니다. 레이스 페이스에 가까운 페이스로 러닝 경제성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.

      2-4. Zone 4 - 고강도 구간 (80~90%)

      인터벌 훈련에 주로 사용되며, 젖산 역치를 높이는 데 도움을 줍니다. 말하기 힘들 정도의 강도이며 짧은 시간 동안 유지 가능합니다.

      2-5. Zone 5 - 스프린트 및 최대 산소섭취 훈련 (90~100%)

      최대 강도로 스프린트 또는 인터벌의 피크 훈련에 사용됩니다. 심폐 기능 극대화, 폭발적인 속도 향상, VO2max 향상에 효과적입니다. 부하가 크므로 제한적으로 사용해야 합니다.


      3. 심박수 존을 활용한 트레이닝 전략

      3-1. 지구력 중심 훈련 예시

      • 주 3회 Zone 2 러닝 (40~60분)
      • 주 1회 Zone 3 템포 러닝 (20~30분)
      • 주 1회 Zone 4 인터벌 (예: 5분 Zone 4 + 2분 회복 × 4세트)

      3-2. 속도 향상 프로그램 예시

      • Zone 2로 워밍업 10분
      • Zone 4 × 6세트 (각 3분) → 회복 Zone 1 1분
      • Zone 5 × 3세트 (각 1분) → 회복 Zone 2 2분
      • Zone 1~2로 쿨다운

      이런 구성은 체력에 맞게 조절하며, 주간 루틴에 맞춰 회복일을 반드시 포함해야 합니다.


      4. 심박계 선택과 실전 적용 팁

      • 가슴 벨트형 심박계가 정확도 측면에서 가장 우수합니다.
      • 스마트워치는 편의성은 높지만, 손목 땀이나 위치에 따라 오차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
      • 훈련 전후 심박수 기록을 분석해 회복 속도도 체크해보세요.
      • Zone 2 비율이 높을수록 장기적인 지구력에 큰 효과가 있습니다.

      심박수 기반 훈련은 훈련 강도를 수치로 조절함으로써 과훈련을 방지하고, 러닝의 지속성과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.